Game&Web Development And More…
유니티가 새로운 요금 정책을 내어 놓았다. https://blog.unity.com/news/plan-pricing-and-packaging-updates Runtime Fee라고, 이제 에디터당(seat fee) 붙던 가격에 추가해서 매출과 다운로드 수에 기반하여 unity runtime install 비용을 추가로 받겠다는 것이다. 20만 달러를 넘고, 20만 다운로드를 넘으면 다운로드 수에 해당하는 추가 Fee를 위의 표대로 지불하라는 말인데… 문제는 그 비용이 만만치 않은 것이다. 더군다나 위의 테이블에서는 one time이 아니라 monthly rate 로…
매년 가을이 되면 회사마다 공채가 한창이다. 너도나도 더 좋은 신입들을 뽑기 위해서 서둘러 공채 기간을 잡고, 빡빡한 일정으로 모든 심사와 단계를 마쳐서 좋은 사람을 낚아 채 간다. 게임 업계에 어느정도 오래 있다보니 수천건의 이력서를 보아왔다. 준비를 잘 하고 매우 잘 쓴 이력서와 포트폴리오 구성도 있는 반면에 형편없고 무성의한 준비없는 자소서와 포폴을 들이미는 지원자들도 수두룩하다. 오늘도…
돈을 잘 버는 게임에서 잘 돌아가고 있는 시스템이라고 그것이 좋은 시스템일까? 이미 유저한테 검증된 시스템이라고 그것을 지금 내가 만들고 있는 게임에 적용하는 것이 안전할까? 게임을 만들 때 기획을 적용하다보면 이러한 고민을 접할 때가 있다. 강화 시스템이 있는 게임에 “강화 실패”를 넣는 것이 좋을까? 회사가 돈을 많이 벌기 위해서는 강화 실패를 넣는 것이 좋다… 라는 말을 한다. 과연 그럴까?…
열역학 제 2법칙(II Law of Thermodynamics)에 의하면 닫힌계에서 엔트로피는 증가한다. 이 때 엔트로피는 degree of disorder, 즉 무질서도를 의미한다. 물이 담긴 컵에 잉크를 떨어뜨리면 잉크가 퍼진다. 즉, 무질서도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동작한다. 역으로 잉크가 섞인 물이 가민히 두었는데 잉크가 물과 분리가 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가지런히 정리해 놓은 아이들의 놀이방에 애들이 들어가서 놀기 시작하면 순식간에…
우리 몸의 세포 안에 작은 발전소들이 수없이 많이 존재하는 것을 아는가? 바로 미토콘드리아다. 이 미토콘드리아에 대해 서술한 책을 읽어보면서 생명의 신비로움에 한발 다가섰다. 1) 미토콘드리아는 인간 안의 에너지 공장(발전소)이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내의 한 소기관이다. 식물 새포에게도 동물 세포에게도 존재한다. 이 미토콘드리아는 영양소를 받아서 분해하여, 에너지가 가득한 분자로 만들어준다. 이런 에너지를 만드는 과정을 세포 호흡(cellular respiration)이라고 부른다.…
요번달 초에 마운틴뷰 구글 본사에서 열리는 Google I/O 2018에 참석했었다. I/O 기간 동안 열심히 우리의 신발이 되어준 렌트카 GPS 기록을 몇개 풀어보니, 묵었던 호텔이 있는 Newark을 중심으로, 구글 본사가 있는 Mountain View, 위쪽 샌프란시스코 시내를 지나 Golden Gate Bridge 에서부터, 아래쪽 Gilroy까지 참 많이도 돌아다녔다. 기술적인 디테일은 좀 재쳐두고, 한 개발자로써 몇가지 생각했던 느낀 점들을 정리해보려고…
오일러 상수(Euler’s constant)로 알려진 e는 사실 오일러가 발견한 것이 아니라, 스위스의 수학자인 Jacob Bernoulli 가 발견했고, Euler가 e라는 이름을 붙여 사용함으로써 유명해졌다. 오일러 상수 e는 무리수(irrational number, 분수로 표현될 수 없는 수) 로써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결과 값은 2.71828182845904523536028747135266249775724709369995 … 이다. 수학에서 가장 중요한 상수라면 아마도 π와 e일 것인데, π는 우리에게…
같이 면접에 들어간 동료가 지원자에게 이런 질문을 한 적이 있다. “내가 만든 게임을 플레이 해보니 휴대폰 배터리가 너무 뜨거워졌어요. 어떻게 해야하나요?” 그 질문을 받은 대부분의 지원자가 “이걸 왜 물어?” 라는 듯한 모습으로, 갑작스런 황당 질문에 자신있는 대답들을 해내지 못한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같이 면접관으로 들어간 나 조차도,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프로그래머들을 뽑는 자리에서 왜 하드웨어 칩…
운동을 제대로 해보기 위해 스포츠 스마트워치를 하나 샀는데, 기능 중에 하나가 분당 심장 박동수를 측정해주는 것이다. 특별히 심박계를 차고 있는 것도 아닌데, 어떻게 손목에서 심박을 측정할 수 있을까? 궁금해서 좀 찾아보았다. 정답은 Pulse Oximetry 라는 기술에 근거한 광학적인 심박 측정 센서를 이용한 것이었다. 혈액 속에 헤모글로빈이 산소를 머금을 때와 산소가 빠졌을 때의 광학적인 반응이 다르게…
왜 1 킬로바이트는 1024 바이트인가? 호랑이 담배피던 시절 아주 옛날에 신입 공채 면접에 면접관으로 딸려 들어간 적이 있다. 다대다 면접에 임한 신입들이라 아직 전문 분야에 대한 디테일한 지식을 질문하기는 어려웠다. 그냥 얼마나 스마트 한지에 대한 평가를 내릴 수 있는 질문들을 끊임없이 하면서 검증해야 했었다. 그 중에 “2^60 을 쉽게 풀어 설명해 보라” 라는 질문을 던진…